공자가어 58 –유행해(儒行解)18
哀公旣得聞此言也(애공기득문차언야)
애공은 이 말을 듣고
言加信(언가신)
말에는 신의를 더하고
行加敬(행가경)․
행동에는 공경함을 더했다.
曰(왈):"終歿吾世(종몰오세)
애공은 말했다. “내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
弗敢復以儒爲戱矣(불감부이유위희의)․"
다시는 선비를 두고 감히 희롱하지 않겠습니다.”
공자가어 58 –유행해(儒行解)18
哀公旣得聞此言也(애공기득문차언야)
애공은 이 말을 듣고
言加信(언가신)
말에는 신의를 더하고
行加敬(행가경)․
행동에는 공경함을 더했다.
曰(왈):"終歿吾世(종몰오세)
애공은 말했다. “내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
弗敢復以儒爲戱矣(불감부이유위희의)․"
다시는 선비를 두고 감히 희롱하지 않겠습니다.”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130 | 공자가어 64 –문례(問禮)6 | wakeorsleep | 2019.06.03 | 1 |
129 | 공자가어 63 –문례(問禮)5 | wakeorsleep | 2019.05.31 | 0 |
128 | 공자가어 62 –문례(問禮)4 | wakeorsleep | 2019.05.30 | 0 |
127 | 공자가어 61 –문례(問禮)3 | wakeorsleep | 2019.05.29 | 0 |
126 | 공자가어 60 –문례(問禮)2 | wakeorsleep | 2019.05.28 | 0 |
125 | 공자가어 6-상로(相魯)6 | jjhyanggyo | 2019.05.03 | 0 |
124 | 공자가어 59 –문례(問禮)1 | wakeorsleep | 2019.05.27 | 2 |
» | 공자가어 58 –유행해(儒行解) | wakeorsleep | 2019.05.26 | 1 |
122 | 공자가어 57 –유행해(儒行解)17 | wakeorsleep | 2019.05.25 | 2 |
121 | 공자가어 56 –유행해(儒行解)16 | wakeorsleep | 2019.05.24 | 2 |
120 | 공자가어 55 –유행해(儒行解)15 | wakeorsleep | 2019.05.23 | 1 |
119 | 공자가어 54 –유행해(儒行解)14 | wakeorsleep | 2019.05.22 | 1 |
118 | 공자가어 53 –유행해(儒行解)13 | wakeorsleep | 2019.05.21 | 3 |
117 | 공자가어 52 –유행해(儒行解)12 | wakeorsleep | 2019.05.20 | 1 |
116 | 공자가어 51 –유행해(儒行解)11 | wakeorsleep | 2019.05.16 | 3 |
115 | 공자가어 50 –유행해(儒行解)10 | wakeorsleep | 2019.05.15 | 1 |
114 | 공자가어 5-상로(相魯)5 | jjhyanggyo | 2019.05.03 | 1 |
113 | 공자가어 49 –유행해(儒行解)9 | wakeorsleep | 2019.05.14 | 1 |
112 | 공자가어 48 –유행해(儒行解)8 | wakeorsleep | 2019.05.13 | 1 |
111 | 공자가어 47 –유행해(儒行解)7 | jjhyanggyo | 2019.05.03 | 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