을미(1956) 9월 23일 생일날 아침 느낀 것을 읊음
齒闊頭童一腐儒 (치활두동일부유)
寄生斯世有如無 (기생사세유여무)
少而至老成何事 (소이지노성하사)
羞道人間作丈夫 (수도인간작장부)
이는 튼튼 어린 아이로 쓸모없는 선비
이 세상에 기생하니 없는 듯이 있어
젊지만 늘게 되었으니 어떤 일 이룰 수 있을까
도에 바친 인간은 장부를 이루었을 텐데
을미(1956) 9월 23일 생일날 아침 느낀 것을 읊음
齒闊頭童一腐儒 (치활두동일부유)
寄生斯世有如無 (기생사세유여무)
少而至老成何事 (소이지노성하사)
羞道人間作丈夫 (수도인간작장부)
이는 튼튼 어린 아이로 쓸모없는 선비
이 세상에 기생하니 없는 듯이 있어
젊지만 늘게 되었으니 어떤 일 이룰 수 있을까
도에 바친 인간은 장부를 이루었을 텐데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89 | 浪史雜草 -61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8 | 浪史雜草 -62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7 | 浪史雜草 -63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6 | 浪史雜草 -64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1 |
» | 浪史雜草 -65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4 | 浪史雜草 -66 生朝有感 | 학전 | 2019.08.16 | 2 |
83 | 浪史雜草 -67 恐賓朋或如和之雨厭其支煩更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2 | 浪史雜草 -68 謹次慶源書堂韻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1 | 浪史雜草 -69 次枕泉亭韻 | 학전 | 2019.08.16 | 1 |
80 | 浪史雜草 -70 長城白羊寺次雙溪樓板上韻 | 학전 | 2019.08.16 | 5 |
79 | 浪史雜草 -71 文-柳孝子傳 | 학전 | 2019.08.17 | 6 |
78 | 浪史雜草 -72 文-柳孝子傳 -2 | 학전 | 2019.08.17 | 4 |
77 | 浪史雜草 -73 文-柳孝子傳 -3 | 학전 | 2019.08.17 | 5 |
76 | 浪史雜草 -74 文-柳孝子傳 -4 | 학전 | 2019.08.17 | 5 |
75 | 浪史雜草 -75 文-柳孝子傳 -5 | 학전 | 2019.08.17 | 6 |
74 | 浪史雜草 -76 文-柳孝子傳 -6 | 학전 | 2019.08.17 | 6 |
73 | 浪史雜草 -77 文-如堂記 | 학전 | 2019.08.17 | 6 |
72 | 浪史雜草 -78 文-如堂記 2 | 학전 | 2019.08.17 | 5 |
71 | 浪史雜草 -79 文-如堂記 3 | 학전 | 2019.08.17 | 4 |
70 | 浪史雜草 -80 文-如堂記 4 | 학전 | 2019.08.17 | 6 |